반응형
대학교 등록금 부담을 줄이는 가장 큰 혜택, 국가장학금이 2025학년도 기준으로 지원 범위와 금액을 확대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 국가장학금 1차 신청 일정과 방법, 소득 분위 기준, 그리고 학자금 지원 금액까지 알기 쉽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목차
2025 국가장학금 주요 변경사항
- 소득 9구간까지 확대 지원
기존 소득 8구간 이하 가구에서 9구간 이하로 지원 대상을 확대하여 더 많은 학생들이 장학금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소득 9구간 학생은 연간 최대 100만 원의 장학금 지원 가능
- 지원 대상자 대폭 증가
- 기존 약 100만 명에서 150만 명으로 늘어날 예정
- 특히 다자녀 가구와 중위소득 가구에 더 큰 혜택 제공
2025 국가장학금 1차 신청 일정
- 학생 신청 기간
- 2024년 11월 21일(목) 오전 9시 ~ 12월 26일(목) 오후 6시
- 주말 및 공휴일 포함 24시간 신청 가능, 단 마감일은 오후 6시 종료
- 서류 제출 및 가구원 동의 기간
- 2024년 11월 21일(목) 오전 9시 ~ 2025년 1월 2일(목) 오후 6시
2025 국가장학금 신청 방법
- 신청 대상
- 재학생, 신입생, 편입생, 재입학생, 복학생 모두 가능
- 재학생은 1차 신청 필수 (2차 신청은 제한적, 재학 중 2회까지만 구제 신청 가능)
- 신청 방법
- 온라인 신청:
-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www.kosaf.go.kr)에서 신청
- 로그인 후 ‘국가장학금 신청’ 메뉴 클릭 후 절차 진행
- 모바일 신청:
- 한국장학재단 앱을 설치한 뒤 ‘통합 신청’ 메뉴에서 간편 신청 가능
- 온라인 신청:
- 신청 매뉴얼 참고
-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와 앱에서 제공하는 신청 매뉴얼 활용
- PC와 모바일 모두 동일한 절차로 신청 가능
2025 국가장학금 지원 금액
- 소득 1~6구간:
- 1학기 등록금의 40~50% 지원
- 학비 부담이 큰 중저소득층에 집중 지원
- 소득 7~9구간:
- 1유형: 소득 9구간까지 연간 최대 100만 원
- 다자녀 가구 혜택:
- 둘째 연간 135만 원, 셋째 연간 200만 원
2025 국가장학금 소득 분위표
소득 분위는 중위소득 기준으로 정해지며, 2025년 1월 말~2월 초 발표될 예정입니다.
2024년 소득 분위 기준 예시:
- 소득 8분위: 월 8,021,878원 이하
- 중위소득 140% 수준
2025년 예상 기준:
- 소득 9구간이 포함되면서 중위소득 150% 수준까지 확대될 가능성
성적 기준 및 예외 조건
- 기본 성적 기준:
- 직전 학기 12학점 이상 이수
- 평균 80점 이상(100점 만점 기준)
- 4.5 만점 기준: 평점 2.8 이상
- 4.3 만점 기준: 평점 2.6 이상
- 예외 조건:
-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 성적 기준 70점 이상
- 장애 학생:
- 이수 학점 기준 면제 (성적 기준만 충족)
-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2025 국가장학금 신청 꿀팁
- 가구원 동의 필수
- 소득 분위 산정을 위해 가구원(부모 또는 배우자) 동의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 마감일 전에 서둘러 신청
- 마감일에는 접속자가 몰려 신청이 지연될 수 있으니 일찍 신청하세요.
- 필수 서류 미리 준비
- 신청 전 필요한 서류(가족관계증명서 등)를 사전에 준비하면 더욱 원활하게 진행 가능합니다.
등록금 부담이 큰 시대에 국가장학금은 학생과 가정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제도입니다. 2025년 소득 9구간까지 확대된 지원 혜택을 적극 활용해 학비 걱정을 덜어보세요.
올바른 정보와 꿀팁으로 국가장학금을 신청해 보람찬 대학 생활을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