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희망저축계좌 신청기간·조건·지원금 총정리 3년 뒤 1,000만 원 만드는 법

by 두아들 엄마의 재테크 2025. 10. 21.
반응형

저축하고 싶어도 여유가 없는 분들을 위해 정부가 함께 돈을 모아주는 제도가 있습니다. 바로 ‘희망저축계좌’입니다. 2025년에도 꾸준히 진행 중이며, 현재 Ⅱ형 신청이 한창입니다. 11월에는 Ⅰ형 4차 모집이 예정되어 있으니 자격이 된다면 이번 기회를 꼭 잡으세요!


목차


🏦 희망저축계좌란?

희망저축계좌는 “일하는 저소득층의 자립을 돕기 위해 정부가 함께 돈을 모아주는 통장”입니다.

매달 10만 원을 저축하면 정부가 최대 30만 원을 함께 넣어주며, 3년간 유지하면 최대 1,400만 원 이상의 자산을 만들 수 있습니다.

예: “내가 360만 원을 모으면, 정부가 1,000만 원을 얹어주는 통장”

📅 2025년 희망저축계좌 신청기간

희망저축계좌는 Ⅰ형과 Ⅱ형으로 나뉘며, 신청 가능한 시기가 다릅니다.

구분 대상 신청기간 비고
Ⅰ형 생계·의료급여 수급 근로가구 3월 / 6월 / 9월 / 11월 (각 2주간)
→ 11월 3일 ~ 11월 14일 예정
4차 신청 예정
Ⅱ형 주거·교육급여 수급 또는 차상위 근로가구 4월 / 7월 / 10월
→ 10월 1일 ~ 10월 24일 접수 중
3차 신청 진행 중

📍 신청은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또는 자산형성포털을 통해 온라인으로 가능합니다. (일부 접속 장애 가능)


✅ 희망저축계좌 자격조건 (Ⅰ형 vs Ⅱ형)

구분 Ⅰ형 Ⅱ형
대상 생계·의료급여 수급 중 근로가구 주거·교육급여 수급 또는 차상위 근로가구
소득기준 기준중위소득 40% 이하 기준중위소득 50% 이하
근로요건 근로 또는 사업소득 유지 근로 또는 사업소득 유지
의무사항 3년 유지 + 교육 이수 3년 유지 + 자금사용계획서 + 교육 이수

👉 요약하면, 현재 근로 중인 저소득층 가구라면 대부분 신청 자격이 있습니다. 단, 근로가 중단되면 지원금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 받을 수 있는 지원금 규모

구분 본인 저축액 정부 지원금 3년 후 총액
Ⅰ형 월 10만 원 월 30만 원 약 1,440만 원
Ⅱ형 월 10만 원 연차별 10→20→30만 원 약 1,080만 원

3년간 매달 10만 원을 저축하면, Ⅰ형은 약 1,440만 원, Ⅱ형은 약 1,080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전세 보증금이나 창업 자금 등 ‘큰돈이 필요한 목표’를 이루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 신청 전 유의사항

  • 3년 동안 근로소득 유지 + 매달 저축이 필수
  • 중도 해지 시 정부지원금 수령 불가
  • 희망키움통장, 내일키움통장 등 유사 사업 참여 이력자 중복 불가
  • 가구당 1명만 신청 가능 (가족 소득도 함께 심사)

🧾 신청 시 필요한 서류

  • 신분증
  • 재직증명서 또는 급여명세서
  • 신청서 (주민센터 비치)
  • 본인 통장 사본

직장인이라면 재직증명서만으로도 대부분 승인된다고 합니다.


🎯 마무리

내가 10만 원을 저축할 때, 정부가 30만 원을 더 얹어주는 제도 — 이보다 확실한 재테크는 드뭅니다.

2025년 10월 현재, Ⅱ형은 10월 24일까지 신청 가능하며, 11월에는 Ⅰ형 4차 신청이 시작됩니다.

조건이 된다면 이번에 꼭 신청해보세요. 3년 뒤, 내 손에 들어올 수 있는 1,000만 원의 기회니까요.

👉 복지로 홈페이지 바로가기
👉 자산형성포털 바로가기


✔ 정부지원금 제도는 매년 내용이 달라질 수 있으니, 최신 공고를 꼭 확인하세요.

 

반응형

/* 링크버튼 */ 버튼링크 /* 링크버튼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