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 다닐 때는 월급에서 건강보험료가 자동으로 빠져나가 부담을 크게 느끼지 못하지만, 퇴직 후에는 상황이 달라집니다. 직장가입자에서 지역가입자로 전환되면서 보험료 부담이 급격히 늘어나는 경우가 많죠.
💡 "퇴직 후 건강보험료, 왜 이렇게 많이 나오지?"
많은 사람들이 퇴직 후 예상보다 높은 건강보험료 고지서를 받고 당황합니다. 직장가입자일 때는 회사가 절반을 부담해 주지만, 지역가입자가 되면 보험료 전액을 본인이 내야 하기 때문인데요. 게다가 소득뿐만 아니라 보유한 재산까지 보험료 산정 기준에 포함되면서 부담이 더 커질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퇴직 후 지역가입자로 전환될 경우 건강보험료가 어떻게 계산되는지, 그리고 보험료를 줄일 수 있는 방법까지 꼼꼼히 정리해 드릴게요!
목차
정부24 4대보험 가입확인서 발급 방법 조건
직장인이라면 언제든 사용할 수 있는 4대보험 가입확인서는 은행 대출, 경력 증명, 취업 등 다양한 상황에서 필요할 때가 많습니다. 이제는 비대면으로도 발급받을 수 있어, 간단하게 정부24 웹
wjs6325.com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 발급방법 4가지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는 국민 건강보험 가입자에 한해서 건강보험 취득 및 상실 이력을 확인할 수 있는 증명서입니다. 회사 이직 시, 대출받을 때, 신용카드 발급 시 제출용도로 활용되며 재
wjs6325.com
퇴직 후 건강보험료, 얼마나 나올까?
지역가입자의 건강보험료는 소득보험료 + 재산보험료로 계산됩니다.
📌 건강보험료 계산 공식
📍 소득보험료: 소득월액 × 7.09%
📍 재산보험료: 재산금액에 따라 등급을 나누고, 점수당 208.4원 적용
예를 들어, 퇴직 후 소득이 월 100만 원이고 재산보험료 등급이 30등급(731점)이라면?
✔ 소득보험료: 100만 원 × 7.09% = 70,900원
✔ 재산보험료: 731점 × 208.4원 = 152,340원
✔ 총 건강보험료: 223,240원
퇴직 전 월급에서 7%만 내던 직장가입자 시절과 비교하면, 부담이 크게 늘어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료, 재산 기준으로는 어떻게 계산될까?
지역가입자의 건강보험료는 소득뿐만 아니라 재산에도 부과됩니다.
📌 재산보험료 산정 기준
재산보험료는 재산세 과세표준에서 기본공제(1억 원)와 주택부채공제(최대 5천만 원)를 뺀 후 등급을 매겨 점수당 208.4원을 곱해 계산됩니다.
🏠 예시: 시가 5억 원, 공시지가 3.5억 원 아파트 보유 시 건강보험료
✔ 재산세 과표금액: 3.5억 × 공정시장가액비율(45%) = 1.6억 원
✔ 공제 후 재산금액: 1.6억 - 1억 = 0.6억 원
✔ 등급: 13등급 (320점)
✔ 재산보험료: 320점 × 208.4원 = 66,688원
대출이 있는 경우 최대 5,000만 원까지 공제 가능하므로, 보험료 부담을 줄일 수도 있습니다.
퇴직 후 건강보험료 줄이는 방법
퇴직 후 건강보험료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법도 있습니다.
1️⃣ 가족의 피부양자로 등록하기
소득이 없는 경우 부모님이나 자녀의 건강보험 피부양자로 등록하면 보험료를 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다만, 피부양자 등록 조건이 까다롭습니다.
✔ 재산 과세표준 5.4억 원 이하 + 연소득 2,000만 원 이하
✔ 재산 과세표준 5.4억 원 초과 시 연소득 1,000만 원 이하
✔ 재산 9억 원 초과 시 피부양자 등록 불가
📌 주택 임대소득이 있으면 피부양자 등록 불가
사업자 등록 여부와 상관없이 임대소득이 있으면 피부양자로 등록할 수 없습니다.
2️⃣ 임의계속가입제도 활용하기
퇴직 후 갑자기 보험료 부담이 커질 경우, 직장가입자 보험료 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임의계속가입제도를 활용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 퇴직 전 건강보험료를 최대 3년간 유지 가능
✔ 다만, 신청 후 중도 해지는 불가
3️⃣ 4대 보험이 적용되는 직장에 취업하기
✔ 단기 아르바이트라도 4대 보험이 적용되면 직장가입자로 전환
✔ 부모님이 법인을 세우고 가족을 직원으로 등록하는 방법도 있음
✔ 개인사업자의 경우 직원 1명을 고용하고 본인도 직원으로 등록하면 직장가입자 전환 가능
퇴직 후 건강보험료, 결국 얼마나 내야 할까?
지역가입자의 건강보험료는 소득과 재산에 따라 차이가 크며, 경우에 따라 30만 원~70만 원 이상 나올 수도 있습니다. 다행히 건보료 상한선은 450만 원으로 정해져 있어, 아무리 많이 벌어도 이 금액을 넘지는 않습니다.
📌 하지만 퇴직 후 소득이 없는 상황에서 수십만 원의 건강보험료는 부담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 퇴직 후 건강보험료를 줄이려면?
✔ 가족의 피부양자로 등록 가능한지 확인
✔ 임의계속가입제도 신청 검토
✔ 4대 보험 가입이 가능한 직장 취업 고려
퇴직 후 예상치 못한 건강보험료 부담을 피하려면, 미리 보험료 계산법을 이해하고 절감 방법을 찾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