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가가치세는 상품과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윤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으로, 최종 소비자가 부담하게 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재화와 용역의 최종 가격에 10%의 부가가치세가 포함되며, 사업자는 이를 기한 내 신고 및 납부해야 합니다. 개인사업자를 위한 부가세 신고 기간과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개인사업자 부가세 신고기간


2024년 제2기 확정 부가세 신고기간은 2025년 1월 25일이 토요일인 관계로 1월 27일 월요일까지 2일 연장되었습니다. 일반과세자와 간이과세자의 신고 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일반과세자
- 제1기: 매년 1월 1일 ~ 6월 30일 (신고: 7월 1일 ~ 7월 25일)
- 제2기: 매년 7월 1일 ~ 12월 31일 (신고: 다음 해 1월 1일 ~ 1월 25일)
- 간이과세자
- 과세기간: 매년 1월 1일 ~ 12월 31일 (신고: 다음 해 1월 1일 ~ 1월 25일)
- 신규사업자
- 최초 과세기간: 사업 개시일부터 해당 과세기간 종료일까지
- 예시: 10월 1일에 개시한 경우, 신고 기한은 다음 해 1월 25일까지
- 과세유형 전환 시 신고
- 일반 → 간이: 7월에 일반과세자로 신고, 다음 해 1월에 간이과세자로 신고
- 간이 → 일반: 7월에 간이과세자로 신고, 다음 해 1월에 일반과세자로 신고
2024년 7월 간이과세자 기준 개정사항

2024년 7월 1일부터 간이과세자의 기준이 다음과 같이 변경됩니다:
- 간이과세 기준 상향
- 연 매출 8천만 원에서 1억 400만 원으로 상향 조정
- 단, 과세유흥장소 및 부동산임대업은 기존 기준(4,800만 원) 유지
- 간이과세자 배제 업종
- 피부미용업 및 기타 미용업은 면적에 관계없이 간이과세 적용
- 전자세금계산서 의무발급 대상 확대
- 직전 연도 공급가액 8천만 원 이상인 개인사업자는 전자세금계산서 의무 발급 대상
- 매출액 8천만 원 이상 ~ 1억 400만 원 미만인 간이과세자도 포함
부가세 신고 시 주의사항

- 가산세 부과 주의
- 무신고 가산세: 일반 20%, 부정 40%
- 과소신고 가산세: 일반 10%, 부정 40%
- 납부 불성실 가산세: 미납 금액에 대해 부과
- 세무조사 대상 가능성
- 신고 누락이나 사실과 다른 신고 시 세무조사 대상이 될 수 있음
- 현금영수증 의무 발급 준수
- 미발급 시 발급 대상 금액의 20% 가산세 부과
부가세 신고 방법

1. 직접 신고하기
- 국세청 홈택스에서 부가가치세 신고 도움 서비스를 통해 과세기간 입력 후 신고 및 납부 가능
2. 세무 서비스 이용하기
- 신고 과정이 복잡하다면 세무사 서비스 이용 추천
정확한 부가세 신고로 불필요한 가산세를 방지하고, 효율적인 세무 관리로 사업을 성공적으로 운영하세요!
반응형